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봄철 진드기병, 4월부터 위험해지는 이유-썸네일
    봄철 진드기병, 4월부터 위험해지는 이유-썸네일

     

    “아직 4월인데 벌써 풀밭이 위험하다고요?” 요즘 날씨가 너무 좋아서, 저도 산책 겸 가볍게 공원 다녀왔거든요. 그런데 지인 중 한 명이 같은 날 같은 공원에 다녀온 뒤 고열과 구토 증상을 보이더니, 결국 병원에서 ‘SFTS 의심’이라는 말을 들었다는 겁니다.

     

    처음엔 '설마 진드기겠어?' 싶었는데, 치명률이 무려 18.5%라는 이야기를 듣고는 저도 바로 옷 벗고 몸을 샅샅이 살펴봤어요.진드기병, 정말 남의 일이 아니더라고요.

     

    그냥 풀밭에 잠깐 앉았을 뿐인데 이렇게 위험할 수 있다는 게 아직도 믿기지 않아요. 요즘처럼 야외활동 많아지는 계절엔 더더욱 조심해야 한다는 걸, 이제는 몸으로 느끼게 됐습니다.

     

    진드기질병의 계절-물리기전후진드기질병의 계절-진드기
    진드기질병의 계절

     

    진드기의 계절은 4월부터 시작됩니다

     

    기온이 10℃만 넘어도 참진드기는 활동을 시작합니다. 질병청은 실제로 2025년 4월 중순부터 참진드기 감시를 시작했어요. 특히 4~6월은 ‘약충기’라고 불리는데, 이 시기에는 작고 눈에 잘 안 띄는 진드기들이 피부에 붙기 쉬운 시기입니다.

     

    이 시기엔 진드기 기피제를 꼭 사용하고, 야외 활동 전후로 피부 노출 부위를 철저히 점검해야 합니다. 특히 효과가 검증된 진드기 차단 스프레이나 보호 복장이 도움이 될 수 있어요.

     

    이쯤 되면 “이런 시기에 캠핑 가도 괜찮은 걸까?” 라는 생각이 들죠? 계속 읽어보세요. 답이 나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👉 질병관리청 진드기 예방수칙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SFTS는 '감기' 처럼 시작해 '사망' 에 이를 수 있습니다

     

    고열, 두통, 오심, 구토... 초기엔 단순 감기 같아서 놓치기 쉽습니다. 하지만 이게 점점 혈소판 감소,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이어지면 치명적인 상태로 악화되죠. 실제로 2024년까지 총 2,065명 발생, 381명 사망, 치명률 18.5%. 이건 우연이나 드문 일이 아닙니다.

     

    다음은 질병관리청 자료를 기반으로 한 연도별 SFTS(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) 사망자 수 및 치명률 통계입니다.

     

    연도 환자수 사망자 치명률(%)
    2019 223명 41명 18.4%
    2020 241명 40명 16.6%
    2021 280명 41명 14.6%
    2022 285명 45명 15.8%
    2023 168명 27명 16.1%
    2024 200명* 13명* 6.5%*

     

    *2024년 수치는 잠정 수치이며, 연말 최종 보고서 기준으로 변동될 수 있습니다. 이처럼 환자 수는 점차 증가하거나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, 치명률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기록 중입니다.

     

     

    SFTS는 '감기' 처럼 시작해 '사망' -진드기 SFTS는 '감기' 처럼 시작해 '사망'-매게체 SFTS는 '감기' 처럼 시작해 '사망'-참진드기
    SFTS는 '감기' 처럼 시작해 '사망' 에 이를 수 있습니다

     

    '살인진드기'? 언론이 괜히 붙인 별명이 아닙니다

     

    참진드기 한 마리에 수십 개 이상의 병원체가 함께 존재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어요. 이 병원체들은 단독이 아닌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감염을 심화시킬 수 있는데요, 그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SFTS(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)입니다.

     

    이와 함께 세균감염, 패혈증, 심지어는 뇌염 증상까지 동반될 수 있어 매우 치명적입니다. 특히 참진드기에게 물린 자국은 ①초기에는 그냥 붉은 반점처럼 보일 수 있지만,시간이 지나면서 ②염증이 심해지고, 물린 부위를 중심으로 ③통증, 부기, 발열이 발생하는 경우도 많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'살인진드기'? -사월의 괴담'살인진드기'? -진드기
    '살인진드기'? 언론이 괜히 붙인 별명이 아닙니다

     

    위 이미지는 질병관리청에서 배포한 참진드기의 확대 모습입니다. 육안으로는 구분이 어렵고, 특히 약충기(어린 진드기)일 경우는 성인 손톱보다도 작기 때문에 발견이 더 어렵습니다.

     

    그래서 방송이나 기사에서 ‘살인진드기’라는 별명이 붙은 건, 단순한 과장이 아니라 현실적인 경고라고 할 수 있어요.

     

     

    진드기가 좋와하는 풀-작은크기진드기가 좋와하는 풀-습하고그늘진곳진드기가 좋와하는 풀-등산로
    진드기가 좋와하는 풀

     

    진드기가 좋아하는 ‘풀밭’은 어디에 많을까?

     

    도시 외곽 공원, 산책로, 등산길은 진드기들이 자주 출몰하는 대표적인 장소입니다. 특히 사람이 자주 드나들지만 ①풀 정리가 덜 된 곳, ②잔디가 짧고 그늘진 곳, ③수풀이 우거진 산책 같은 곳은 진드기에게 이상적인 서식지입니다.

     

    이런 환경은 햇빛이 직접 닿지 않아 습도 유지가 잘 되고, 숙주가 될 수 있는 사람이나 동물의 접근도 많기 때문에 진드기의 밀도가 높을 수밖에 없어요. 반려견 놀이터나 캠핑장, 어린이놀이터 등은 특히 조심해야 할 장소입니다.

     

    아이들이나 반려동물은 풀밭에 직접 눕거나 장시간 머무는 일이 많기 때문에 감염 확률이 높아질 수 있거든요. 그리고 이런 곳들은 진드기가 사람 피부나 반려동물 털에 붙기 좋은 환경입니다.

     

    야외활동 후에는 반드시 옷이나 피부, 반려동물 털을 꼼꼼히 확인해주는 습관이 필요합니다. “앗, 여기 진드기 나올까?” 감이 안 잡히시죠?

     

    👉 그래서 다음 글에서 위험지역 지도 + 위험도 순위 함께 공개할게요.

     

     

     진드기가 좋아하는 ‘풀밭’은 어디에 많을까? -긴잔디  진드기가 좋아하는 ‘풀밭’은 어디에 많을까? -진드기크기  진드기가 좋아하는 ‘풀밭’은 어디에 많을까? -실험진드기
    진드기가 좋아하는 ‘풀밭’은 어디에 많을까?

     

    왜 사람들은 진드기병을 과소평가할까?

     

    “그거 시골 가야 걸리는 거 아냐?“에이 설마 진드기 하나에 죽기야 하겠어?” 그런데 이 말들이 실제 환자들에게서 가장 많이 나오는 이야기랍니다. 방심은 곧 감염입니다. SFTS는 당신이 예상한 곳에서 생기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.

     

    실제 사례를 보면 더 명확합니다. 2023년 경남의 한 ①50대 여성이 주말에 가족과 함께 간 근처 농촌 마을 산책 중 진드기에 물렸습니다.

     

    처음엔 그냥 모기인 줄 알고 대수롭지 않게 넘겼지만, 4일 후 고열과 구토, 근육통이 나타났고 결국 병원에서 SFTS 양성 판을 받았습니다. 안타깝게도 치료 중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사망에 이르렀습니다.

     

    또 다른 사례로는 도시 외곽 공원에서 자주 ②조깅하던 30대 남성 물린 사실도 모른 채 일상생활을 이어가다, 증상이 심해져 입원했고 혈소판 수치가 급격히 떨어진 상태에서 회복하지 못하고 중환자실에서 숨졌습니다.

     

    이처럼 "설마 나한테 그런 일이?"는 생각이 가장 위험한 것입니다.

     

    왜 사람들은 진드기병을 과소평가할까?-진드기에물리면왜 사람들은 진드기병을 과소평가할까?-진드기종류왜 사람들은 진드기병을 과소평가할까?-진드기
    왜 사람들은 진드기병을 과소평가할까?

     

    오늘부터 외출이 달라져야 합니다

     

    이제는 단순한 ‘벌레’ 문제가 아닙니다. 백신도 없고, 치료제도 없 상황에서 ‘예방’만이 유일한 답이에요.

     

    다음 편에서는 SFTS 증상예방 방법을 집중 분석해서 알려드릴게요.

     

     

    SFTS 증상과 예방법, 감기인 줄 알았다고요?

    “단순 감기인 줄 알고 참았는데… 병원에선 SFTS라고 했어요.”실제 환자들의 후기에서 가장 자주 등장하는 말입니다. 처음엔 가벼운 감기 증상 같아서 무시했는데... 며칠 후 고열과 설사, 구토

    nehi.ssugaengi.com

     

    반응형